Surprise Me!

[한반도 키워드] 노동당 대회

2020-08-23 0 Dailymotion

[한반도 키워드] 노동당 대회<br /><br />북한이 내년 1월에 노동당 대회를 열고 새로운 경제 발전 5개년 계획을 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경제실패를 공식 인정하고, 새 판을 짜겠다는 의지를 보인 건데요.<br /><br />오늘의 한반도 키워드, 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지난 19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통해 내년 1월에 8차 당대회를 개최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북제재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코로나19와 수해까지 겹쳐 경제난이 가중됨에 따라 나온 결정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 "최고영도자(김정은) 동지께서는 당 제8차 대회에서는 새로운 국가 경제 발전 5개년 계획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시었습니다."<br /><br />7차 당대회가 2016년 5월에 열렸는데, 4년 8개월 만에 8차 당대회가 열린다는 건 다소 이례적입니다.<br /><br />당초 북한은 2016년 당 규약을 개정해 당대회를 5년마다 열도록 한 규정을 삭제하고 개최일을 6개월 전에만 발표하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당 대회 개최가 경제·사회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걸 고려한 조치였는데, 이번에 5년도 되지 않아 또다시 당 대회를 열기로 한 겁니다.<br /><br />그만큼 경제를 비롯한 대내외 위기를 무겁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풀이되는데요.<br /><br />당대회는 북한 노동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입니다.<br /><br />노동당 규약은 당대회가 당의 노선과 정책, 전략전술에 관한 기본 문제를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1946년 1차 당대회를 시작으로, 김일성 체제에서는 당대회가 비교적 정기적으로 열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1985년 김일성 주석이 "인민들이 흰 쌀밥에 고깃국을 먹게 될 때 7차 당대회가 가능하다"고 언급했고, 이후 김정일 국방위원장 집권 시절까지 당대회가 한 차례도 개최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 김정은 체제 이후인 2016년 5월, 36년 만에 7차 당대회가 소집됐는데요.<br /><br /> "영광스러운 김일성·김정일주의당의 강화 발전과 사회주의 위업의 완성을 위한 투쟁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하는 역사적인 계기로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이 인민복이 아닌 검은색 양복을 입고 등장해 홀로 일어서서 개회사를 낭독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당시 4차 핵실험을 마친 직후였는데요.<br /><br />7차 당대회를 통해 경제건설과 핵무력 건설의 병진노선을 천명하고,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을 제시해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습니다.<br /><br />그때 제시한 경제발전 5개년 전략의 목표 시한이 올해 2020년까지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은 당대회 개최를 결정하면서 그동안의 경제 실패를 사실상 인정했는데요.<br /><br /> "예상치 않았던 도전들이 겹쳐 드는데 맞게 경제사업을 개선하지 못하여 계획되었던 국가 경제의 장성 목표들이 심히 미진되고 인민생활이 뚜렷하게 향상되지 못하는 결과도 빚어졌다."<br /><br />코로나19로 인해 북한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중국과 교류도 여의치 않았던 데다, 얼마 전 수해까지 덮치면서 경제 전망이 더욱 어두워진 겁니다. 북한은 이미 지난 4월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 코로나19로 국가계획을 하향 조정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 "비루스(바이러스) 감염 위험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이 같은 환경은 우리의 투쟁과 전진에도 일정한 장애를 조성하는 조건으로 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결국 내년 1월 당대회를 통해 새로운 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내놓겠다고 공언한 북한. 이번 당 대회 개최 시점에는 미국의 대통령 선거 일정이 고려된 것으로 보입니다. 미국 대통령 선거가 올해 11월에 실시되고, 내년 1월에 새 대통령의 취임식이 열리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의 경제 발전에 대북제재가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만큼 북한이, 미국에 어떤 행정부가 들어서는지를 고려해 경제 및 대외정책을 새로 마련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한반도 키워드, 오늘은 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